건너뛰기 링크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메뉴 및 주소,전화번호 안내 바로가기

풍성하고 아름다운 전북 예술의 꽃을 기대하며

작성자 :
김희수
날짜 :
2008-11-21
며칠전 우리 전라북도 예술가들의 참으로 빈한(貧寒)한 삶에 대한 언론보도를 접했다. 전북발전연구원이 도내에서 활동하는 예술인 522명을 대상으로 지난 9월 한달 동안 조사해 언론에 발표한 내용은 한마디로 도내 예술가는 춥고 배고프다는 것이었다. 도내 문화예술인 10명 가운데 6명은 예술 활동을 통한 소득이 전혀 없으며, 3명은 창작활동 소득이 월평균 100 만원 이하에 불과해 창작 활동에만 전념하는 순수 예술인들은 거의 없는 실정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75%가 예술창작활동 외에 다른 직업을 통해 얻은 적은 수입으로 생계를 꾸려 나가고 있는데, 그중에 51.4%는 현재의 예술 활동과 상관없는 전혀 다른 직업에 종사하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그동안 도내 예술인들로부터 ‘생계’가 아니라 ‘생존’을 걱정하는 목소리를 간혹 들었었지만 막상 수치로 접하고 보니 큰 충격으로 와 닿았다. 예향 전북을 지키고 만들어 가는 도내 예술인들의 삶이 이 지경에까지 이른 것은 물론 여러 가지 열악한 여건들이 어우러져 빚은 산물이다. 그 가운데 우리 지역사회의 예술에 대한 관심이나 수요가 적은 것이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힌다. 우리 전라북도의 경우 좋은 작품을 창작해도 작품을 팔수 있는 인프라가 부족하고, 기타 단체의 지원도 기대할 수 없다. 또, 좋은 공연을 올려봐야 돈 내고 들어오는 관객이 없으니 답답한 노릇이라는 것이 예술인들의 중론이다. 심지어 원고청탁이 가끔 들어오긴 해도 원고료를 주는 곳조차 거의 없다고들 하소연한다. ‘클릭’하나로 세상을 만나고 넘쳐나는 정보들을 단숨에 마셔버리는 디지털시대가 도래하면서 문화예술과 예술가들은 더욱 벼랑으로 내몰리고 있다. 생활은 편리해져 가지만 정작 인간 정서는 자꾸만 메말라져 가고 있는 것이다. 문화예술을 이야기하다 보면 어쩔 수 없이 젊은 시절로 달려가게 된다. 흔치 않은 기회에 접한 좋은 연극을 한편 보고나면 그 여운이 남아 며칠간은 마음 따뜻하게 지낼 수 있었다. 도의원 활동을 하면서 정서적 피폐에 대한 방패막이가 되어 준 것도 다양한 공연과 좋은 책 들이었다. 마음을 털어놓고 싶은 상대가 생기면 밤새워 한 구절 한 구절 편지지에 옮기다 찢기도 하고, 그렇게 완성된 편지는 한편의 수필도 되고 시도 되었던 추억들을 40대 이상세대는 공유하고 있다. 그러나 요사이는 편리한 핸드폰 문자로 그때그때의 감정을 자신들만의 비어나 속어로 가벼이 날리고 있다. 더 이상 가슴앓이도 아름다운 글귀를 찾아 헤매는 수고도 하지 않고, 좋은 전시회를 찾거나 시집을 사서 읽고 외우는 젊은이들도 줄어 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21세기 각 국가와 도시들의 경쟁력을 좌우할 중요요소로 문화를 꼽는다. 패션·디자인·공연·영화·IT산업에 이르기까지 한 나라와 그 도시를 먹여 살릴 문화산업의 부가가치는 궁극적으로 그 지역이 갈고 닦아 축적해온 예술에 젖줄을 대고 있다. 음악과 미술, 연극과 문학을 통해 길러진 예술적 감성과 인문학적 상상력은 하루가 다르게 변모하고 있는 문화산업의 원류이자 저수지인 셈이다. 이처럼 중요한 예술은 결코 그것을 창작한 사람에 의해서만 이뤄지지 않는다. 대중예술의 화려한 겉모습에만 치우치지 않고, 문화내용을 즐기며 아끼고 보좌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을 때 발전과 번영이 있는 것이다. 아무리 좋은 작품을 창작하고 공연하더라도 그 작품이 팔리지 않으면 생활이 어려울 것이고, 그러다보면 예술인은 하나 둘 떠날 수밖에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지금 살길을 찾아 다른 분야로 옮기느냐 가난한 삶을 지속하느냐의 기로에 서있는 도내 예술인들이 자부심을 갖도록 하는데 우리사회와 지역공동체가 관심을 갖고 뒷받침을 해야 한다. 그래서 춥고 힘들지만 예술인 한 사람 한사람의 멈추지 않는 열정의 씨앗이 도민의 관심이라는 양분을 얻어 풍성하고 아름다운 전북예술의 아름다운 꽃을 피워 내주길 기대해 본다.
누리집 담당자
의정홍보담당관 함훈욱
연락처
063-280-4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