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링크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메뉴 및 주소,전화번호 안내 바로가기

축제 통폐합의 바람직한 방향

작성자 :
배승철
날짜 :
2009-04-27
축제에 대한 구조조정을 하겠다고 정부가 발 벗고 나섰다. 소모적인 지역축제를 통·폐합해 일자리 창출에 재투자하는 지자체에게 교부세를 배정하겠다는 당근책을 제시한 것이다. 정부의 이러한 행보는 지역의 고유한 특성을 배경으로 탄생한 축제를 재정적(財政的) 수단을 통해서 정리해 보겠다는 발상으로 접근 방식 자체에 문제가 있다. 하지만 축제를 재단(裁斷)하려는 방식에 문제가 있다고 하더라도 실업자 100만의 ‘잔인한 시대’에 잔치판을 줄여 경기침체로 인한 ‘피해자’를 배려하자는 정부의 제안에 지자체가 팔짱만 끼고 있어서는 안 된다. 축제가 지역발전을 촉발시킬 수 있는 지렛대가 될 수 있도록 지역 주민이 공감하는 규모와 내용으로 손질해야 한다. 먼저 축제가 가지고 있는 근본적인 기능을 감안해 주민이 참여하는 대동제의 성격으로 진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주민이 구경꾼에 불과한 축제는 더 이상 축제라고 할 수 없다. 주민의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주민이 축제의 전 과정에 관여할 수 있는 조직체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관주도로 개최되는 축제를 주민이 주체가 되어 이끌어 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민간 주도적인 축제가 되기 위해서는 현재 지자체에서 직접 주최하고 있는 것을 과감히 민간위원회에 넘겨야 한다. 그리고 지자체는 최소한의 지원과 협조에 만족해야 한다. 베니스가면축제, 아비뇽국제연극제, 일본의 마쯔리축제 등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는 축제 중 지자체가 주도하는 축제는 거의 없다. 이렇게 될 때 현재 주민들로부터 가장 많은 비난의 대상이 되고 있는 천편일률적인 개막식과 연예인 공연 등과 같은 문제가 사라지고 좀 더 내실 있는 축제가 될 것이다. 축제의 많은 기능 가운데 관람객수와 경제적 파급효과에 지나치게 매몰되어 규모가 큰 축제에 너무 집착해서는 안 된다. 대신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주최하는 소규모의 축제를 지원하고 장려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축제의 경우에는 지자체가 나서서 대규모의 예산을 투입할 필요가 없고 행정적 지원과 장비 대여 등과 같은 간접적인 지원만 하면 된다. 인구가 약 160만명인 유럽의 한 주에서 2004년에 개최되는 축제만 하더라도 무려 197개에 달하는 점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축제의 차별성이 부각될 수 있도록 주제를 분명히 하고 프로그램을 주제에 맞게 선별해 나가는 노력 또한 필요한 과제이다. 다른 지역에서 성공한 축제와 똑같은 주제의 축제라 하더라도 지역의 정체성과 고유성이 없는 축제는 성공할 수 없다. 이는 관객이 축제를 통해서 유일무이한 체험을 하고 싶은 욕망을 근본적으로 채워 줄 수 없기 때문이다. 과학기술의 발달로 물리적 거리가 축소되어 인류는 한층 가까워질 인간관계를 기대했으나 사람들 사이의 관계는 점점 더 멀어져만 가고 있다. 시간이 갈수록 인간소외 현상은 깊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사회적 병폐는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어 적절한 치유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축제는 문명의 발전과 그에 따른 소외감을 상쇄시킬 수 있는 좋은 수단 중 하나이다. 거리에서 광장에서 사람과 사람이 마주보며(Face-to-Face) 관계를 회복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이다. 이처럼 인간에게 재미를 선사하고 인간관계를 회복시키며 경제적 파급효과까지 낳는 축제는 줄여 나갈 대상이 아니다. 선진국의 경우 인구유입을 늘려 지역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오히려 축제를 늘려 나가고 있는 추세가 아닌가? 다만, 정부와 지자체는 소모적이고 전시적인 축제를 정리하고 주민이 주체가 되는 소규모의 축제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필요한 노력을 다해야 한다.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웃과 동병상련의 정을 나누지는 못할망정 볼썽사나운 풍악을 울려서야 되겠는가?
누리집 담당자
의정홍보담당관 함훈욱
연락처
063-280-4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