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링크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메뉴 및 주소,전화번호 안내 바로가기

공공디자인, 주민주도 여부가 관건이다

작성자 :
유유순
날짜 :
2009-02-16
전라북도의회 유유순 의원 전라북도가 아름다워지기 위해 몸부림을 치고 있다. 이미 우리 고장은 천혜의 비경을 자랑하는 곳으로 잘 알려져 있으나 최근 각 시·군이 공공디자인이라는 이름으로 인공구조물의 디자인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이다. 바야흐로 우리지역이 자연과 인공(人工)이 조화된 미적공간으로 탈바꿈하기 위해 용틀임을 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를 둘러싼 생활공간을 디자인 개념을 도입하여 멋지게 변화시켜 나가는 일은 자연스런 일이다. 이렇게 당연한 일을 우리는 너무 늦게 시작한 것이다. 하지만 현재 각 지자체가 앞 다투어 추진하고 있는 공공디자인은 주민의 참여가 제한적인 상태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많은 부작용과 역기능이 우려되고 있다. 사실 공공디자인의 개념이 건축과 간판의 디자인처럼 ‘공공성이 확보되어야 하는 공간의 디자인‘을 의미한다고 볼 때, 지자체가 주체가 되어 추진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하나 이러한 추진방식은 도시공간을 다양성이 결여된 ’죽은 공간‘으로 만들어 버릴 염려가 있다. 궁극적으로는 도시 미관을 해치고 주민들에게 공공디자인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만 심어 줄 수 있다. 청계천 간판정비사업은 대표적인 실패 사례로 거론되고 있다. 사업이 시행된 지역의 점포주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사업에 만족한다는 의견은 단 8%에 불과할 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총 사업비 7000만원을 들여 군산 해망동의 생활개선을 위해 추진된 공공미술사업 ‘천야해일’도 정부 정책의 대표적인 실패작에 속한다. 이들 사업들은 한결같이 지역의 특성과 정체성이 반영되지 않고 정작 중요한 주민들의 참여가 배제된 가운데 일방통행식으로 추진되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지자체의 의지와 일부 외부 전문가에만 의존할 때 발생하는 부작용을 단적으로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우리지역에서 공공디자인의 중요성이 처음으로 제기된 것은 전라북도의회였다. 지난 2007년 7월 문화관광건설위 김명수 의원이 도정질문을 통해 전라북도의 정책적 대응을 주문했던 것이다. 그 후 전라북도에 ‘디자인정책과’가 설치되었고 전주시에서는 ‘아트폴리스’ 구현이 시정의 역점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다. 군산과 익산 그리고 완주와 김제에서도 그 중요성을 인식하여 각종 계획이 세워지고 있다. 우리지역의 자치단체가 공공디자인이 주민의 삶의 질을 변화시키고 지역의 발전에 기여한다는 점을 깨닫고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무척 다행한 일이다. 그렇지만 그것이 가져다주는 문화적 사회적 의미를 도외시하고 도시공간을 조성할 때 도시 미관을 해치는 또 다른 흉물로 전락할 수 있다는 것을 깊이 깨달아야 한다. 한결같이 유럽식 외관으로 치장된 원룸으로 채워지고 있는 전주 서부 신시가지는 공공디자인이 잘 못 적용된 대표적인 곳이다. 오랫동안 아파트 같은 공동주택 위주로 도시가 형성되어 왔고 주민들의 디자인에 대한 수준이 높지 않은 현실에서 단번에 디자인의 원리가 접목된 도시공간을 만들려다 보면 많은 부작용이 따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각 지자체들은 주민들의 디자인 감각을 끌어올리기 위해 디자인과 관련된 다양한 교육에 힘써야 한다. 동시에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민들의 참여를 최대한 끌어올릴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공공디자인이 지역주민과 함께 함으로써 성공을 거둔 대표적인 사례로 부산시 광복로가 자주 언급되고 있다. 여기에서 우리가 주목할 것은 주민들이 단순히 참여하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사업의 모든 과정을 주도적으로 이끌었다는 점이다. 주민참여를 넘어 주민주도형 공공디자인의 모범 사례를 보여준 것이다.
누리집 담당자
의정홍보담당관 함훈욱
연락처
063-280-4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