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링크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메뉴 및 주소,전화번호 안내 바로가기

축제의 문화정책적 접근의 필요성

작성자 :
배승철
날짜 :
2011-02-09
축제는 대중문화 중에서 ‘문화적 실천행위’들 중의 한 형태이다. 그러나 그것은 스포츠와 같은 다른 종류의 문화적 실천행위보다는 훨씬 지역의 문화적 모습을 종합적‧중층적으로 담고 있다. 따라서 축제 그 자체에 관심의 초점을 맞추어 문화정책적인 시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여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문화정책(cultural policy)이란 문화를 대상으로 하는 공공정책을 말한다. 그런데 현대 민주주의국가에서 공공정책으로서 문화정책을 실시하는 근거는 문화에 대한 기본권 즉, 문화권의 보장이다. 그런데 여기에서의 문화권이란 ‘문화를 향유할 권리’, ‘문화를 창조할 권리’, ‘문화활동에 참여할 권리’로 구성되는 복합적인 권리이다. 일반적으로 공공정책을 실행하는 주체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문화정책의 흐름을 잘 관찰하면 문화정책에는 중앙‧지방정부뿐만 아니라 여러 분야의 시민이 아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정부가 어떤 문화정책을 실시하는가는 대단히 중요한 문제이다. 그렇지만 국민의 기본권인 ‘문화권’을 고려한다면, 문화정책의 이념은 정부의 문화담당 부서의 의견이 아니라 시민의 의사가 반영된 것이라야 한다. 따라서 문화정책이 할 일은 정부의 문화정책을 분석하는 것뿐만 아니라 정부와 시민사회가 협동해서 문화권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프로세스를 명확히 조명하는 일이다. 문화의 다양한 사회적 편익 중 지금까지 주로 강조되어온 것은 문화가 가져다주는 경제적 효과에 초점이 맞추어진 ‘지역경제 파급설’이라는 것은 부인하기 어렵다. 물론 문화를 생존권과 밀접한 경제적 향상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1998년 유네스코의 ‘문화와 발전 위원회’ 리포트가 기술한 것처럼 더 이상 소득만이 풍요로운 삶을 담보할 수 없다. ‘지속 가능한 발전’이란 오히려 처해 있는 상태와 생활의 질이 어떠한가에 달려있다. 또한 생활의 질에서 중요한 것은 바로 지역 사회의 문화적 생활에 참여하는 것이다. 현대사회의 여러 문화현상 가운데 축제는 점점 더 그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그러나 생활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볼 때 ‘비일상적 전도 현상’을 체험할 수 있는 축제가 중요하다. 축제의 참여자는 이런 종류의 문화행위를 통해 삶의 ‘초월적 에너지’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일탈성의 축제에는 배우와 관객의 구분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사람들 사이에 존재하는 장애물이 제거 되어 거리가 가까워지며, 친숙하고 자유로운 접촉이 이루어진다. 지난 세기의 후반부터 인류는 이미지의 과잉으로 실제와 가상의 경계가 끊임없이 충돌하여 함몰되는 simulation의 세상에 살게 되었다. 이것은 사물의 존재론적 의미의 변화를 가져와 모든 사물과 사건이 ‘스펙터클’화 될 수 있다는 섬뜩한 메시지를 가져다주었다. 학자들의 말을 빌자면 모든 것이 복제 되는 시대에 사물의 의미는 전통적인 ‘제례적 가치’에서 ‘전시적 가치’로의 전환을 겪게 된 것이다. 현대인의 관계의 단절은 친밀성을 향한 인간의 소통을 가로막는다. 따라서 ‘트임’을 위해서는 ‘참여’가 필요하다. 여기에서의 참여는 주체인 인간이 자신을 둘러싼 주변세계에 자신을 개방하는 한편 에워싼 힘에 관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로의 얼굴을 맞대는 Face-to-face의 관계를 회복함으로써 인간들 사이에 벌어진 사회적 거리를 좁힐 수 있는 것이다. 문화행위들 중에서 축제에 관한 정책적 접근은 경제적 파급 효과에 초점이 맞추어진 경영의 측면에서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는 축제가 지금까지 언급한 ‘소통’을 위한 ‘참여’와 이를 통한 생활의 질의 향상이라는 문화정책적 측면을 얼마나 잘 구현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초점을 맞추어 접근하고 평가해야 할 것이다. /도의회 문화관광건설위원장 배승철 의원
누리집 담당자
의정홍보담당관 함훈욱
연락처
063-280-4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