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잘하는 의회, 함께 만드는 전북전북특별자치도의회
전라북도체육회 운영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리 문제로 체육지도자들이 구속되고 수사를 받는가 하면, 전북체육회 상임부회장은 사표를 냈고, 장애인체육회 사무처장도 자리에서 물러났다.
체육 강도(强道)로서의 위상과 면모를 지켜왔던 전북체육계에 큰 타격이 아닐 수 없다.
사실 체육계를 향한 자성의 목소리는 이전부터 있어왔다.
일선에서 지도자들과 선수들이 흘리는 구슬땀이 알찬 결실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라도 컨트롤 타워인 체육회의 투명운영이 강조됐던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사회적 요구가 제기될 때마다 소극적인 대응으로 일관하다 보니 결국 곪아 터진 셈이다.
지난 2011년 행정사무감사 때에도 필자가 속한 문화관광건설위원회는 체육계 일선에서 벌어지고 있는 불법적인 관행에 대해 집중적인 질타와 실태파악을 주문한 바 있다.
그러나 당시 답변자로 출석했던 행정부지사나 체육계 수장들은 경찰수사 결과를 지켜봐야 하는 문제라거나, 정확한 근거가 없이 이뤄지는 문제제기라며 문제의 핵심을 비켜가려고 했다.
만약, 전북체육계 수장인 도지사의 책임 하에 집중적인 실태파악 및 개선대책 마련이 이뤄졌더라면 전북체육계의 리더십이 지금처럼 엉망진창이 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대상이 무엇이고 누가 됐든 간에 소수의 사례를 가지고 전체를 매도하는 일은 매우 폭력적인 일이다.
전라북도 체육계 수장들이 당시 행정사무감사 자리에서 내세웠던 논리도 이런 것이었다.
전체적으로 확인되지도 않은 문제를 마치 구조적이고 뿌리 깊은 문제인 것처럼 주장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식이었다.
문제가 있는 소수에 주목하기 보다는 문제가 없는 다수의 입장을 대변하는 척 함으로써 자신들이 주장하는 바의 정당성을 확보하려는 정치적인 발언이자 대응이었다. 힘 없는 약자가 돼 일언반구도 하지 못하고 피해를 본 어린 선수들과 열악한 여건 속에서도 열정을 잃지 않는 지도자들의 입장은 안중에도 없이 당장의 곤란한 상황만 비껴가려는 무책임한 대응이었다.
어느 분야보다도 성과로 보상받는 게 체육계의 특성이다.
따라서 공정한 보상 시스템과 운영의 투명성 보장은 절대적이다.
공정성을 잃는다면 지도자와 선수의 사기는 떨어질 것이고, 운동을 통해 자신의 미래를 꿈꾸는 일도 불가능해질 수밖에 없다.
이 점을 모를 리 없는 사람들이 문제의 본질을 회피하기에 급급하다가 오늘의 사태를 야기한 것은 마땅한 책임이 뒤따라야 한다.
상임부회장이 사표를 내는 용단(?) 하나만으로 흐지부지 넘어가서는 안 된다.
올해 전북체육회는 자체적으로 자정결의문을 만들어 자정과 개선에 대한 강한 의지를 천명한 바 있다.
그러나 선언이 허언이 되고만 지금 시점에서는 어떤 현란한 수사나 발표보다도 면밀한 실태조사를 통해 추가적인 문제를 들춰내는 일이 중요하다.
또 다시 주저하며 나서지 않는다면 전북체육계의 위상은 날개 없는 추락의 길을 걷게 될 것이며, 도민들의 불신은 가늠하기 힘들 정도로 깊어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