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링크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메뉴 및 주소,전화번호 안내 바로가기

혁신도시 이전기관 지역상품 애용을

작성자 :
조계철
날짜 :
2014-02-06
▲ 조계철 전북도의회 의원
지역 균형발전은 새정부의 국정과제 일뿐 아니라 헌법이 보장하는 국민의 기본권이다. 참여정부의 주요 성과 가운데 국가 균형발전 차원에서 추진된 지역혁신도시가 이제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이전 공공기관 건물들이 하나둘씩 제 면모를 갖춰가고 주민 입주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10년 넘게 추진됐던 국가사업이 비로소 실감난다.

아직 행정구역 문제나 공공시설 미흡 등 여러 불편사항들이 해소되지 않아 제반여건이 갖춰지려면 다소 시간이 걸릴 듯은 하지만, LH 유치 실패로 숱한 우여곡절을 겪었던 전북혁신도시는 이제 농생명의 메카이자 연기금 중심 특화금융도시로 새롭게 태어날 준비를 하고 있다.

하지만 외형상 활기찬 신도시 모습과는 달리 공공기관들의 독자적인 행보에 지역경제는 여전히 냉랭하다. 공공기관들이 지역경제를 외면하고 있는 모습은 청사 이전 공사현장에서부터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특히 전북의 경우 전남이나 경남 등 다른 혁신도시에 비해 지역업체 참여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드러나 도민들의 실망감과 참담함은 매우 크다.

전북도가 조달청을 통해 파악한 최근 자료를 보면 이미 완공한 지방행정연수원을 제외하고 공사 중인 9개 공공기관의 공사금액은 1조원에 이른다. 이 중 2013년 도급액의 83%는 서울, 경기, 부산, 전남, 대구 등 타지역 업체로 파악됐다. 지역업체가 공동도급사로 참여한 곳도 있지만, 100% 타지역업체를 원도급업체로 선정한 공공기관도 4곳에 이른다.

반면 전남과 경남혁신도시의 경우 지역업체 참여율이 80~90%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전북과는 대조적이다.

말로만 혁신은 안 된다. 외형상 번듯한 신도시만이 아닌 침체에 빠진 지역경제를 진정으로 혁신할 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추기 위해선 지역과 상생 협력하려는 이전 공공기관들의 자세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혁신도시특별법 제정의 근본취지가 지역 균형발전에 있으며 이 때문에 일감부족에 허덕이던 지역 업체들이 혁신도시 이전 효과를 기대했던 것이다.

현재 도내 건설업은 줄도산 위기에 처해있다.

하지만 이런 심각한 상황에도 농촌진흥청 등 일부 이전기관들은 도내로 본사를 이전하는 과정부터 지역업체 참여나 지역물품 사용 등 지역경제 활성화 대책은 외면하고 있으니 앞으로 지역과의 상생협력에 얼마나 동참할지 걱정스런 부분이다.

혁신도시는 공공기관 지방이전을 계기로 성장 거점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미래형 도시다. 이러한 호기를 맞아 그동안 산업화 과정에서 소외됐던 지역의 대학연구소, 산업체, 지방자치단체들이 이전 공공기관과 협력하여 지역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려고 발버둥치고 있는 것이다.

혁신도시가 들어서는 주변 중소도시의 주거환경 악화와 부동산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 섞인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음에도 지자체들이 혁신도시 정주여건 개선을 위해 막대한 투자와 노력을 아끼지 않는 절박한 심정을 이전기관들이 헤아려주길 바라며, 지역 고용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상생협력에 적극 동참해주길 호소한다.


누리집 담당자
의정홍보담당관 함훈욱
연락처
063-280-4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