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링크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메뉴 및 주소,전화번호 안내 바로가기

자유학기제, 그 설레는 시작을 위하여

작성자 :
이해숙
날짜 :
2015-07-22
내년부터 전면 시행되는 자유학기제에 조금은 설레기도 한다. 우리나라 교육의 변화를 가져 올 수 있는 중요한 정책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자유학기제’란 ‘공부와 시험 부담에서 벗어나 학생이 스스로 미래를 탐색하고 진로를 설계할 수 있도록, 중학교 한 개 학기동안 종이에 쓰는 지필시험을 보지 않으며, 교과별 특성에 맞는 체험과 참여 위주의 수업’을 말하는 것으로, 박근혜정부의 교육공약 핵심이다.
그러나 이 좋은 제도가 정착되기엔 걸림돌들이 있다.
첫 번째는 진로직업 체험 프로그램이 제대로 마련된 곳이 없다는 점이다.
기껏 갈 곳이라곤 주민자치센터나 소방서와 파출소 등이 전부다. 마치 각 학교에서 진로체험을 한다고 하면서 미용이나 바리스타 교육을 한다고 하는 것과 같다. 학생들이 한꺼번에 거리로 쏟아져 나오면 그들을 교육할 수 있는 여건이나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하루 이틀도 아니고 어떻게 할 수 있겠는가? 두 번째는 고등학교 서열화로 인한 과열이 없이는 정착이 어렵다는 것이다. 영재학교나 특목고처럼 고등학교가 서열화 되어 있는데 한 학기동안 길거리를 방황하게 할 학부모가 있겠는가? 학부모들 사이에서 ‘자유학기제는 자유 사교육기간’이라는 말이 공공연하게 흘러나오는 이유다. 이 밖에도 진로직업체험활동에 편중된 프로그램 운영, 주당 총 수업시수 증가 등의 문제로 인해 일선학교의 교사들의 반발도 존재한다.
따라서 자유학기제가 제도로서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전제가 필요하다. 첫 번째, 고교 서열화와 대학 서열화의 전면적 폐지다. 이것이 없이는 근본적인 교육의 변화는 요원할 일일 것이다. 두 번째 교육기회의 확대가 전면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공교육 범위 내에서 프로그램의 변형이나 추가가 아니라 교육기회의 전면적 확대로 이어져야 하는데 한정된 교육예산으로 교육기회를 넓히는 건 어렵다. 가장 손쉬운 방법은 대안교육시스템뿐만 아니라 시민사회의 교육시스템과도 교육과정을 연계하는 방법이다.
대안교육의 20년 성과는 이미 혁신학교들을 통해 충분히 검증되었다고 보인다. 시민사회계 또한 각각의 성격에 맞는 교육적 여건을 가지고 있는 곳이 많다. 이러한 가치들을 아이들을 위해 교육과정을 공유한다면 한 학기동안 풍부한 교육적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교육은 삶에 기반을 둘 때 그 가치가 빛난다. 학교 혁신의 과정으로 도입하는 자유학기제가 지역의 가치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해야 하는 이유이며, 지역사회와 교육계가 머리를 맞대고 함께 해야 할 이유이다.
세 번째는 교육청의 평생교육과 관련한 예산을 자유학기제 실시를 위한 교육과정 설립 예산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지금 각 지역 교육지원청에서는 평생학교들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평생학습은 학생들 대상이 아니고 성인들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그나마 교육청 예산도 줄어들고 있는데 굳이 일반인들을 위한 평생학습센터를 운영하는 것이 타당한지를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 나무가 자라면서도 길이생장을 할 때와 부피 생장을 할 때가 있는 것처럼, 가득 채워진 머릿속 지식이 체화될 수 있는 시간, 성숙의 시간이 필요하다. 자유학기제가 제대로 준비되어 그 성숙의 시간으로 자리 잡게 되기를 희망한다.
누리집 담당자
의정홍보담당관 함훈욱
연락처
063-280-4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