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잘하는 의회, 함께 만드는 전북전북특별자치도의회
지방자치가 부활 된지 20여년이 지나면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단어중의 하나가 '지방시대'라는 말이다. 지방시대라는 단어는 공·시문서 또는 대화중에 어지간한 대목에다 끼워 넣으면 대충 다 들어맞을 정도로 흔히 쓰인다. 지역의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대부분의 문제를 거론할 경우 약방의 감초격으로도 거론된다. 그런데도 유독 언론만큼은 지방시대와 거리가 멀다. 토마스 제퍼슨은 ‘신문 없는 정부보다 정부 없는 신문을 택하겠다’고 말했다. 이는 신문의 중요성을 한마디로 표현한 것이다. 하지만 지역주민들의 지역언론 홀대는 20여년 전이나 지금이나 별반 차이가 없는 듯하다. 중앙지를 아무리 뒤져봐도 면단위나 동네 소식을 찾을 수 없으면서도 지역주민들은 중앙지를 고집하고 있다. 이는 결국 주민 스스로 지방시대를 부정하는 행동들이다. 지방시대라는 단어를 공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때는 지방의회의 부활시기인 1990년대 초반부터다. 지방의회는 시장 군수를 직접 뽑는 지방자치시대로 이어져 이제는 풀뿌리 민주주의가 착근단계에 들어섰다. 이처럼 지방자치가 성숙해지면서 지역별로 고유한 패러다임을 형성해나가고 있지만 뉴스의 중앙 집중은 좀처럼 분산되지 않고 있다. 때문에 지방시대라고 외치면서 뉴스만큼은 지역소식을 중요시하거나 궁금해 하지 않는 기이한 현상이 되풀이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지방신문은 1988년이후 우후죽순격으로 창간됐다. 거기에다가 시군단위에서 주간으로 발행되는 지역신문 또한 홍수시대가 됐다. 현재는 난립이라는 표현이 적절할 정도다. 지방신문의 난립은 비단 전북도내 현상뿐만 아니라 전국적인 상황이다. 이처럼 지방신문의 난립은 경영난과도 직결되고 있다고 한다. 7년여 전에는 국회가 나서서 신문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최문순의원(현 강원지사)을 중심으로 구독료에 대한 소득공제 방법 등을 내놓기도 했다. 독자 1인당 2부 정도의 구독료에 해당하는 금액을 연간 소득에서 공제해주는 방안이다. 마치 정당후원금을 10만원 한도내에서 소득공제 해주는 방식과도 같았다. 하지만 아쉽게도 시행되지는 못했다. 또 지방신문의 양적인 팽창은 질의 저하로 연결되고 있는 것도 엄연한 현실이다. 게다가 일부 신문 종사자들의 일탈은 전체 지방신문이 도매금으로 비난받는 계기가 되고 있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지방신문은 지역의 대변자임에 틀림없다. 또한 지방시대를 이끌고 뒷받침하는 지역의 버팀목이라는데 이견이 없다. 그러나 지역주민의 높은 정치관심과 중앙집권적인 사회구조는 지방신문의 영속성을 심각히 위협하는 요소가 되고 있다. 이해하기 힘들지만 지방신문의 부정적인 면만을 강조하는 일부 지도층들은 자신조차 지방지를 구독하지 않는다. 그들은 숫자가 많다는 등 막연한 비난에만 열을 올리고 있다. 일종의 피해의식인 듯하다. 지방시대에 지역언론이 튼실해야 지역발전이 빠르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 지방신문은 역기능 보다는 순기능이 월등히 많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