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잘하는 의회, 함께 만드는 전북전북특별자치도의회
백문이 불여일견, 언제나 현장에서 답을 찾았던 우리 교육위원회는 선진 교육현장을 찾아 지난 6월 20일 국외정책연수를 출발해 7박 8일 일정으로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세 나라의 교육현장을 두루 살피고 돌아왔다. 연수에서 돌아온 지 시간이 꽤 지났지만, 여전히 여운이 남아 마무리하는 심정에서 이번 정책연수를 통해 느낀 몇 가지를 이야기해 보고자 한다. ▲복지가 아닌 평등이 발달한 나라, 노르웨이 핀란드의 경우 박사과정까지 정부가 지원하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세 나라는 모두 대학까지 무상교육이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혜택은 외국인 학생들까지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렇기에 대학 졸업 후 취업을 했더라도 직장에 다니는 도중에 다시 대학에 입학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한국의 경우 최근 고교 무상교육까지 왔지만, 여전히 많은 논란과 갈등이 있다. 무상교육이 선택적 복지냐 보편적 복지냐에서부터 무상교육에 필요한 돈을 어떻게 감당할 것인지까지 쉽지 않은 과정을 겪고 있다. 그렇기에 무상교육에 대한 각 나라의 인식은 어떠한 것인지 매우 궁금했고 그 답은 첫 기착지였던 노르웨이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노르웨이는 복지 혜택이 많은 만큼 국민들이 내는 세금 역시 상당했다. 한국에서 3, 4천만 원대의 SUV 차량이 노르웨이에서는 약 1억 원 정도 하고 이 금액 중 40%가 세금이다. 하지만 이 세금은 결국 본인들에게 제대로 돌아온다는 신뢰가 있기에 노르웨이 국민들은 당연한 것으로 여긴다고 한다. 또 복지가 발달한 만큼 평등에 대한 인식이 매우 높다는 점이다. 성차별은 물론이고 한국사회에서는 여전히 인정받기 어려운 부분까지도 노르웨이에서는 인간의 권리로서 이해되고 있었다. 교육 역시 누구나 받아야 할 권리로서 무상교육은 평등의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는 노르베르그 중학교 관계자의 설명을 통해 교육과 복지에 대한 이해를 다시 하게 되었다. ▲주부라는 직업이 없는 스웨덴 스웨덴의 경우 맞벌이가 대부분으로 학교급식과 방과후 수업이 활성화 되어 있었다. 특이한 점은 주부라는 직업이 없다는 것이다. 맞벌이 여성이 직장을 잃으면 한국처럼 경단녀가 되어 전업주부로 불리는 것이 아니라 실직상태가 된다는 것이다. 보육정책 역시 맞벌이에 맞춰져 있다. 남녀 모두 육아휴직을 써야 하는 것은 물론, 생후 12개월부터 유치원에 보내며 유아교육은 놀이중심으로 구성되어 아이 대부분이 쉽게 적응할 수 있다고 한다. 이와 함께 스웨덴은 방과후 수업이 매우 활성화되어 있다. 교사 자격이나 대우가 일반교사와 동일하고 교과수업 외에 많은 부분을 방과후 교사가 담당하거나 일반교사와 협업하는 등 방과후 교사가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무엇이 중요한지를 다시 생각하게 하는 대목이다. ▲집중지도, 특별지도하는 핀란드 국외연수 마지막 국가는 핀란드였다. 핀란드는 유럽에도 교육수준이 매우 높은 편에 속하는 나라로 평가 받는다. PISA(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국제학업성취도평가)가 시작된 이래 줄곧 상위권에 랭크되고 있는 핀란드 교육의 강점은 무엇일까? 세계에서 가장 많은 시간 공부하는 한국 학생들과 다른 점은 무엇일까? 여러 가지 의문점이 많았다. 하지만 핀란드를 방문하고 느낀 점은 우문현답에 가까웠다. 세 나라는 공통적으로 순위를 매기는 성적이 없고, 그렇기 때문에 경쟁에 대한 부담이 적다. 특히, 핀란드는 기초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공부를 잘하는 학생보다는 부족한 학생에 대해 더 많은 투자(일반지도→집중지도→특별지도)를 하고 있었다. 여전히 대학입시와 사교육에 몸살을 앓고 있는 한국과 동떨어진 현실이 생소하게만 느껴지면서도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바가 무엇인지, 어떤 나라의 학생들이 더 행복할 것인지 충분히 느낄 수 있었다. 끝으로 쉽지 않은 여정임에도 열과 성의로 함께 해준 여섯 분의 동료 의원님들과 함께 고생한 교육전문위원실 직원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거듭 표하는 바이다. 최영규<전라북도의회 교육위원회 위원장> 2019.7.15.월 전북도민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