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링크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메뉴 및 주소,전화번호 안내 바로가기

평생학습, 학습동아리 그리고 작은도서관

작성자 :
김성주
날짜 :
2007-11-07
언젠가 태국의 공항대합실에서 오륙십대의 백인 관광객 10여명이 서로 다른 일행이라도 되는 것처럼 책읽기에 열중하는 것을 본 적이 있다. 우리들은 무료한 시간을 때우기 위해 졸거나 옆 사람과 이런 저런 얘기를 나누면서 그들의 모습을 희한하게 바라보았다. 한국의 교육열은 세계최고수준이다. 태내 교육에서부터 시작하여 젖을 떼자마자 영어조기교육열풍에 매달리고 초등학생 어학연수로 불쌍한 기러기아빠를 만들고 아이들은 0교시수업에 시달리며 서글픈 엄마들은 과외비를 마련하기 위해 노래방도우미도 서슴지 않는다. 우리만큼 지독하게 공부를 시킨 나라는 없을 것이다. 아침 0교시 수업으로 시작해 정규수업을 마치고 야간자율학습까지... 그런데도 공항 대합실의 풍경은 왜 다르게 나타날까? ‘과로사회 대한민국’ 박세리는 ‘골프가 싫다’고 했고 개그맨은 더 이상 귀가한 집에서 웃기지 않으며 대학신입생들은 지긋지긋한 공부로부터 해방된 기분을 만끽하느라 게을러진다. 강요된 노동, 강요된 학습의 산물인 '과로사회' 대한민국의 자화상이다. 대학입시를 위해 취업을 위해 모든 것을 걸어버리고 거기에 실패하면 모든 기회가 봉쇄되어 버리는 사회는 끊임없이 과로와 스트레스가 쌓이게 된다. 대학진학을 위해서가 아니라 정규학교교육뿐 아니라 생애초기부터 노년까지 학습에 대한 욕구를 국가가 충족시켜주는 것이 평생학습사회이다. 우리나라에도도 평생학습축제, 평생교육센터, 대학평생교육원 등 평생학습이 낯익은 단어가 되었다. 평생학습을 시민교양교육정도로 이해하는 우리와 달리 유럽은 산업사회에서 지식사회로 이행하는 '지식의 유럽'을 건설하려는 국가전략성격을 지니고 있다. 유럽은 평생학습을 유아교육에서 학교교육, 대학교육, 노동시장교육, 시민사회교육 전반에 걸친 네트워크개념으로 이해하고 있다. 학습동아리 민주주의 산업사회에서 노동이 인간의 첫 번째 요구였다면 지식사회에서는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학습이 첫 번째 요구가 될 것이다. 평생학습이란 학습과 교육을 학교교육에만 국한시키지 않고 전 생애에 걸쳐 가르치고 배우는 체제를 갖추는 것이다. 또한 대학에 가기 위한 취업을 하기 위한 교육과 학습이 아니라 사회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필요할 때는 언제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우리나라의 평생학습체계는 아직 출발단계에 불과하다. 지식사회의 경제적 측면에 초점을 둔 인적자원개발에만 치중하여 사회통합을 위한 민주시민교육에 다가가지 못했다. 직업교육과 시민교육에 대한 사람들의 욕구를 어떻게 조직할 것인가? 평생학습을 강요된 학습에 머무르지 않게 하려면 자발적 커뮤니티로서의 학습동아리를 지역사회의 핵심으로 만들어내야 한다. 이를 위해 나는 작은도서관을 주목한다. 작은도서관을 거점공간으로 하여 평생학습의 선구자들인 자발적 학습동아리들이 모일 수 있어야 한다. 생활문화의 중심 작은도서관 작은도서관은 단순히 책을 읽는 곳이 아니라 학습동아리들의 자발적 커뮤니티가 자기계발과 민주시민으로서의 교육과 훈련을 통해 평생학습사회를 만들어나가고 민주주의를 발전시켜나가는 새로운 자치공간이다. 평생학습모델로 그다지 선진적이지 않은 미국도 맥도널드햄버거 체인점수보다 공공도서관이 더 많다. 1년에 극장을 이용하는 사람보다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사람이 더 많다. 미국은 인구 3만명당 1도서관이 있지만 영국과 프랑스는 1만명당 1도서관이 있으며 우리는 겨우 9만명당 하나의 도서관이 있는 셈이다. 동네마다 마을마다 아파트마다 작은도서관을 만들자. 학교 도서관을 지역사회에 개방하고 경로당을 도서관으로 바꾸고 주민자치센터에 작은도서관을 만들어 지식정보시대의 새로운 시민생활의 중심이자 시민들의 배움터와 놀이터로 만들어야 한다.
누리집 담당자
의정홍보담당관 함훈욱
연락처
063-280-4737